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Git 으로 리눅스 명령어 연습
    Git&GitHub/Git 사용방법 2022. 5. 18. 11:52
    728x90

    리눅스 명령어 연습~~~

     

     

    git bash를 처음 실행하면 저 옆에 물결표가 뜰겁니다. 저게 홈 디렉터리에 있다는 뜻입니다.

    그 이후 $ pwd라고 쳐보겠습니다.

    그러면 현재 위치의 경로가 나타납니다.

     

    현재 디렉터리에 어떤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있는지 확인할 때에는 ls명령을 사용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다음과 같이 파일들이 뜹니다. 이름뒤에 슬래시(/)가 붙어 있는 것이 디렉터리입니다.

     

    조금더 나가볼까요? 

    리눅스 명령에 옵션을 추가하려면 붙임표(-)와 원하는 옵션을 함께 입력합니다

    $ ls -la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이렇게 더 자세히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
    **자세한 명령어들은 명령어 모음들을 보시면 공부하실 수 있습니다.**

     

    디렉터리간 이동을 하기 위해서 명령어가 필요합니다

    $ cd .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빨간 색을 보시면 더 상위로 넘어갔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하위 디렉터리로 가려면 cd 뒤에 해당 디렉터리 명을 적으시면 됩니다.

    $ cd git 이런식으로요.

    홈디렉터리로 가고 싶다면 $ cd ~ 라고 적으시면 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터미널 창에서 바로 디렉터리를 만들고 삭제도 가능합니다.

    test라는 디렉터리를 생성해보겠습니다.

    $ mkdir test

    그 후에 아까배운 $ ls 도 사용해보자구요

     

     

    사진과 같이 디렉터리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디렉터리 삭제는 다음과 같습니다. 아까만든 test 디렉터리를 삭제해볼게요.

    rm명령을 사용하는데, 이때 디렉터리안에 파일이 존재하면

    rm 명령만으로는 지울 수 없습니다.

    때문에 -r 옵션을 사용해서 디렉터리 안에 있는 하위 파일들까지 삭제하도록 해줍니다.

     

    $ rm -r test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디렉터리가 없어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간단한 텍스트 파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.

    일단 디렉터리를 하나 만들어 볼게요! 복습도 해봐야죠

    $ cd ~

    $ mkdir test

    $ cd test

     

    현재 디렉터리에 test.txt라는 파일을 만들기 위해서 vim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해보겠습니다. vi라고도 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    test.txt라는 파일이 존재하면 그 파일이 열리지만 아니라면 자동으로 생성됩니다.

     

    $ vi test.txt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위와 같이 화면이 뜹니다. 밑을 보면 위에 친대로 파일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죠.

    그런데 이 상태 그대로 텍스트를 치려고 하면 안쳐질겁니다.

    이 때는 i키a키 또는 insert키를 누르시면 수정모드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이렇게 밑에 뜹니다.

    그 이후에 저장하고 끄기 위해서는 esc키를 누르고 그 이후에 :wq 를 써줍니다.

    그러면 다시 터미널 창으로 돌아갈겁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밑에 이렇게 치는게 뜹니다.

    **그 외에 vim의 명령들은 명령어 모음에 들어가 있으니 참고하세요

     

    이제 쓴 내용을 확인해봐야겠죠?

    그런데 일일이 vim에 들어가서 확인하는건 은근히 귀찮은 일입니다.

    짧은 내용을 확인하는 명령어가 있습니다.

    $ cat test.txt

     

    아까 작성한 내용이 저렇게 터미널창에 출력됩니다.

    728x90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